본문 바로가기
3. 사회복지 잔치마당/사회복지 정보

[청소년증] 청소년증 발급받는 방법

by meta-verse 2021. 12. 6.
728x90
반응형

오늘은 청소년들의 백신 접종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신분증인 청소년증에 대한 관심이 많고 발급 신청도 폭증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합니다.

※ 청소년복지 지원법 제4조(청소년증)
①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은 9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에게 청소년증을 발급할 수 있다.
④ 제1항에 따른 청소년증의 발급에 필요한 사항은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한다.

Ⅰ. 의 의
모든 청소년에게 해당 연령(학생 여부와 상관없이 학교 밖 청소년도 포함)에 대한 신분 확인과 함께 교통수단·문화시설 등에서의 할인 혜택 제공을 통해 생활의 편의 및 다양한 문화 체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청소년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청소년증이 필요한 경우는 코로나19 백신접종 시, 수능, 어학능력시험과 같은 각종 공인시험, 은행, 국내선 공항 등에서 공적 신분증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학생증과 달리 청소년증은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기에 신분증으로 여러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Ⅱ. 발급권자

특별자치 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

 

. 발급절차

- 청소년증 신청서 제출(가까운 시·군·구청 또는 ··동 행정복지센터, 신규신청은 온라인 불가) : 청소년 본인 또는 보호자(보호자가 신청할 시에는 보호자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 청소년증 제작 : 한국조폐공사

- 청소년증 교부 : 방문수령 또는 등기교부(등기비용 지불해야 함)

 

- 청소년증 발급 신청 확인서 : 청소년증 교부 전에 청소년증을 대신하여 임시로 활용할 수 있는 확인서(발급일로부터 30일까지 사용 가능, 청소년증 신청지에서 발급)

 

- 청소년증을 분실, 훼손하거나 기재 사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재발급받을 수 있다.

 

- 청소년증 분실, 재발급은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하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가능, 단 청소년 본인의 공인인증서 필요하다. ( https://www.bokjiro.go.kr )

 

. 발급내용

 

1. 발급대상 : 9세 이상 ~ 18세 이하 청소년 누구나

 

2. 준비물 : 사진 1매(3cm×4cm)

청소년증 발급신청확인서인 임시신분증을 발급받으려면 사진 2장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 못 알려진 것임(스캔해서 발급하기에 사진 1장이면 됨)

 

3. 대리신청 : 대리인 증명서류(주민등록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4. 신청장소 :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읍··동 행정복지센터

 

5. 발급수수료 : 없음

6. 발급소요기간 : 3~4주 정도(백신접종을 위해 신청이 폭주하여 예전보다 더 걸릴 수도 있으니 미리 신청 요망)

 

7. 신규발급 시 온라인신청은 불가(재발급은 온라인 신청 가능)

8. 교통카드 기능 : 레일플러스, 원패스, 캐시비 중 선택

 

교통카드 기능(선불결제이며, 선택사항)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하여 버스나 지하철은 물론 편의점이나 카페 등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구분 레일플러스 원패스 캐시비
사용
지역
전국에서 사용가능 서울,경기,대구,인천,광주,경북16개지역,제주,울릉도 전국에서 사용가능
(경북,경남 10개지역 제외)



기차,지하철,택시(서울),시내버스,시외버스,고속버스,공항버스,공항철도 버스,도시철도,택시(대구),전국철도역사,고속도로,유료도로(대구) 지하철,시내버스,기차,택시,공항버스,시외버스(경기,충남),고속버스,고속도로,유료도로,유료터널


편의점(emart24, story way), 코레일역사내 브랜드매장, 열차내 이동식키트, 코레일네트웍스 주차장 편의점
- emart24 (대구,경북)
- GS25 (대구,경북)
세븐일레븐,CU,GS25


롯데슈퍼,롯데마트,롯데백화점,롯데시네마,


메가박스,파리바게트,베스킨라빈스,파스꾸찌,던킨도너츠

콜센터 1544-7788 080-427-2342 1644-0006

9. 청소년증은 공적신분증 기능 이외에도 고궁, 공연, 박물관 등 청소년 우대할인 혜택도 있다. 할인율은 지역과 기관에 따라 다르니 미리 확인하여야 하나 대체로 아래와 같다.

- 버스나 지하철 20~40% 할인

- 철도요금 10~30% 할인

- 고궁이나 릉 50% 할인

- 박물관, 미술관 50% 내외 할인

- 공연장 30~60% 내외 할인

- 자연휴양림 40% 할인

- 영화관 1,000원 할인

- 서점(교보, 영풍문고) 10% 할인

고등학교 3년을 보냈던 나의 모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