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말을 맞이하여 광화문 근처에 있는 경희궁을 방문하였는데 이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날씨가 더워서인지 관람객이 별로 없어서 조용한 가운데 궁궐을 산책할 수 있었다.
경희궁은 본래 경덕궁(慶德宮)으로 불렸다.
이 궁이 창건된 것은 1617년(광해군 9)으로, 당시 광해군은 창덕궁을 흉궁(凶宮)이라고 꺼려 길지에 새 궁을 세우고자 하여 인왕산 아래에 인경궁(仁慶宮)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다시 정원군(定遠君)의 옛 집에 왕기가 서렸다는 술사의 말을 듣고 그 자리에 궁을 세우고 경덕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광해군은 이 궁에 들지 못한 채 인조반정으로 왕위에서 물러나고, 결국 왕위는 정원군의 장남에게 이어졌으니 그가 곧 인조이다.
인조가 즉위하였을 때 창덕궁과 창경궁은 인조반정과 이괄(李适)의 난으로 모두 불타 버렸기 때문에, 인조는 즉위 후 이 궁에서 정사를 보았다.
창덕궁과 창경궁이 복구된 뒤에도 경덕궁에는 여러 왕들이 머물렀고, 이따금 왕의 즉위식이 거행되기도 하였다.
제19대 숙종은 이 궁의 회상전(會祥殿)에서 태어났고, 승하한 것도 역시 이 궁의 융복전(隆福殿)에서였다.
제20대 경종 또한 경덕궁에서 태어났고,
제21대 영조는 여기서 승하하였다.
제22대 정조는 이 궁의 숭정문(崇政門)에서 즉위하였고,
제23대 순조가 회상전에서 승하하였으며,
제24대 헌종도 숭정문에서 즉위하였다.
1760년(영조 36) 경덕궁이던 궁명을 경희궁으로 고쳤는데, 그것은 원종의 시호가 경덕(敬德)이므로 음이 같은 것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창건 때 정전·동궁·침전·제별당·나인입주처 등 1,500칸에 달하는 건물이 있었다. 그 창건 공역은 1617년에 시작되어 4년 뒤인 1620년에 끝마쳤는데, 이 공사를 위하여 전국에서 공장(工匠)과 자재가 동원되었다.
『궁궐지(宮闕志)』에 따르면, 건물의 배치가 외전과 내전이 좌우에 나란히 놓이고 전체적으로 동향을 하고 있어, 정궁(正宮)인 경복궁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즉, 경복궁은 남향으로 외전과 내전이 앞뒤에 구성되었는데 그것과 다르며, 또한 궁의 정문이 바른쪽 모퉁이에 있는 점도 특이하다. 이런 점은 처음 이궁으로 지어졌던 창덕궁에서도 보이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 경복궁보다는 격식을 덜 차린 결과로 보인다.
각 건물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외전에 있어서 정전(正殿)인 숭정전(崇政殿)은 궁의 서쪽에 동향하였고, 주위는 행각으로 둘러싸고 사방에 문을 두었다.
숭정전 뒤에는 후전인 자정전(資政殿)이 있고, 주변에 수어소(守御所)인 태령전(泰寧殿)이 있다. 숭정전의 오른편, 즉 북쪽으로는 왕이 신료(臣僚)들을 접견하고 강연(講筵)을 여는 곳인 흥정당이 있고, 주변에 왕이 독서하는 곳으로 존현각(尊賢閣)·석음각(惜陰閣)이 있다.
이상 외전을 구성하는 중심 전각들의 우편에 내전이 있는데, 그 정침이 회상전이다. 그 서쪽에 융복전, 동서에 별실이 있고 주변에 연못과 죽정(竹亭)이 있다. 융복전의 동편에는 대비를 모시는 장락전(長樂殿)이 있고, 주변에 용비(龍飛)·봉상(鳳翔)이라는 누각과 연못이 있으며, 동편에 연회장소인 광명전(光明殿)이 있다.
궁의 외부 출입문은 모두 다섯인데, 정문은 동북 모서리에 있는 흥화문(興化門)이다. 결국, 경희궁은 정문이 동북 모서리에 있어서, 정문을 들어서서 내전 앞을 지나 서쪽 끝의 외전 정전 일곽에 도달하게 되는 특수한 배치와 구성을 보여 준다.
경희궁에는 수많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궁 자리에 일본인 중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사라지고, 일부는 다른 곳에 이건되어 지금까지 건물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우선, 현존하는 건물을 보면 정전인 숭정전의 정문인 흥화문, 후원의 정자였던 황학정(黃鶴亭) 등이 있다.
숭정전은 1926년 조계사(曹溪寺)에 매각되어 현재 동국대학교 구내에 있는데,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기와지붕을 한 주심포양식의 건물이다.
흥화문은 1618년에 세워진 건물로 창건 때의 건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왔으나, 1932년에 이전되어 일본인 절인 박문사(博文寺)의 문으로 쓰이다가 1988년 경희궁복원계획의 일환으로 지금의 위치로 이전, 복원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우진각 기와지붕이다.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정문이 모두 2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비하여 이 건물만은 단층으로 되었는데, 그 이유는 궁의 창건 때 이 궁이 피우처로 마련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현재 궁터에는 용비천(龍飛泉)이라는 샘터가 남아 있고, 숭정전 등 주요 전각의 기단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지역은 한동안 학교로 이용되어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고 주변의 조경이 변모되고 지하 방공시설이 구축되는 등 약간의 변화가 있었으나, 옛 건물의 기단이 일부 남아 있고 전체적으로 궁궐의 지형이 잘 남아 있으며, 뒤쪽에는 울창한 수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아직도 궁궐의 자취를 상당히 간직하고 있다.
경희궁은 일명 ‘야주개 대궐[夜照峴大闕]’로 불렸는데, 그것은 정문인 흥화문의 현판 글씨가 명필이었고, 글씨의 광채가 밤에도 훤히 비추었다고 해서 이 일대를 야주개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 5대 궁궐 : 경복궁(북궐), 창덕궁(동궐), 창경궁(동궐), 덕수궁, 경희궁(서궐)


위 사진은 조선 광해군8년(1616년)에 세운 경희궁의 정문인 흥화문이다.

위 사진은 경희궁의 정전인 숭정전에 들어가기전에 지나가야하는 숭정문이다.

숭정전은 경희궁의 정전으로 1618년(광해군10년)경에 건립되었으며, 국왕이 신하들과 조회를 하거나 궁중연회, 사신접대 등 공식행사가 행하여졌던 곳이다.
그런데 일제가 경희궁을 훼손하면서 1928년 일본인 사찰에 팔았는데 현재는 동국대학교에 남아 있고, 현 위치의 숭정전은 복원된 것이다.

일월오봉도 병풍과 어좌가 있다.

위 사진은 경희궁의 편전인 자정전이다. 편전은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정무를 보거나 경연을 여는 등 공무를 수행한 곳이다. 숙종이 승하하였을 때 빈전으로 사용되었으며, 선왕의 어진(초상화)이나 위폐를 임시로 보관하기도 하였다. 현재 건물은 복원한 것이다. 자정의 뜻은 정사를 돕는다는 뜻이다.

위 사진은 태령전으로 태령이란 넉넉하고 편안하다는 뜻으로 임금님의 어진(왕의 초상화)을 봉안하는 곳이다. 영조는 평생에 걸쳐 총 13점의 초상화를 남겼는데, 그 중 7점을 태령전에 봉안하였다. 1776년 영조가 승하하자 정조는 태령전과 그 일대를 영조의 장례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위 사진은 태령전 뒤에 있는 기이한 모양의 바위다.
서암이라고 불리는 이 바위는 바위속에 샘이 있어 유명하다. 본래는 왕암이라고 불렀고 왕기가 서려있다고 전해졌던 곳이다. 그 이름 때문에 광해군이 그곳에 경희궁을 짓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숙종34년에 서암으로 바꿔불렀다.

380년 이상 된 경희궁의 명물 느티나무




























'1. 일상다반사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혈관에 좋은 음식 (0) | 2022.08.03 |
---|---|
[영화] 한산 : 용의 출현 관람기 (0) | 2022.07.29 |
[제도] 2022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제도 (0) | 2022.07.15 |
[건강] 호흡기 질환(유행성 감기)에 대한 민간요법 (0) | 2022.07.13 |
[한방] 허준의 동의보감 개요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