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일상다반사/생활정보

[건강] 호흡기 질환(유행성 감기)에 대한 민간요법

by meta-verse 2022. 7. 13.
728x90
반응형

오늘은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유행성 감기에 대한 민간요법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1. 감기의 원인
일반적으로 감기라고 하는 것은 찬 공기를 쐬었다든가 하여 체온의 균형이 깨진 데다 코, 목구멍, 기관지 등의 호흡기관에 담증이 생긴 상태를 통틀어 말한다.

오늘날 감기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알레르기, 자율신경 실조증 등의 다섯 가지를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그중에서도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고 한다. 그리고 감기의 합병증으로서 가장 많은 폐렴은 그 95%가 세균의 2차 감염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2. 감기의 증상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전신 권태감, 재채기, 콧물, 목의 아픔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서 두통과 발열 등 불쾌한 증상이 따르게 된다. 방치하면 이러한 증상이 계속된다.

예로부터 감기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했듯이 감기는 또다른 후유증을 불러온다. 최근에는 감기 바이러스가 척수로 들어가 척수염 같은 무서운 병을 일으키거나, 눈 속에 들어가 눈을 멀게 하고, 장 속에 들어가 설사, 복통을 일으키게 한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다.

또한 갑자기 열이 나고 오한, 두통, 콧물, 코막힘, 기침 등 증상은 감기와 같지만 열이 섭씨 39~40도로 높고, 관절통이나 근육통 그리고 전신 권태감이 현저히 나타나면 인플루엔자, 즉 독감에 걸린 것이나 주의를 요한다.

3. 민간요법
1). 파의 흰뿌리
파의 흰뿌리 부분에는 발한을 촉진하여 해열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 요리법으로 많이 취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파를 넣고 끓인 따끈한 된장국을 먹고 따뜻하게 하고 잠자리에 들면 특히 잘 듣는다고 한다.

2). 생강차
생강 반 근을 잘 씻어 주전자에다 잠길 정도의 물을 넣고 약한 불로 약 한 시간 정도 달인 후 수시로 마시면 좋다고 한다. 이때 귤껍질 말린 것이나 대추가 있으면 적당히 넣어 같이 달이면 더욱 좋다고 한다.
특히 목감기나 오한에 좋으며, 양약과 함께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전통 민간요법이다.

3). 배즙
크고 작은 배 한 개를 골라, 수저로 배 가운데 부분을 파낸 후에, 배 속을 조금씩 긁어서 배즙을 만들어 낸다. 껍질이 5mm 정도 남을 때까지 속을 긁어낸 후, 꿀을 적당히 섞어 약한 불로 은근히 끓여 수시로 복용한다. 특히 기침감기에 효과가 있고, 오래된 해소, 천식에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별로 없다고 한다. 

4). 깻잎
깻잎을 달여서 복용하면 발한이 촉진되고 가래나 기침이 없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5). 귤껍질
원기회복에 많이 사용되는 귤껍질을 한방에서는 "진피"라고 하는데, 위를 보호하고 체력을 보강하는 약재로 쓰인다. 10g 정도의 귤껍질을 채 썬다. 그리고 생강과 대추를 약간씩 넣고 물 두 대접을 부어 끓여 하루 3번 식후에 복용한다. 몸을 덥히는 생강과 대추를 가미한 귤피차는 겨울철 감기나 일반적 피로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6). 죽엽
죽엽4g, 검정콩4g, 도라지4g, 오미자2g, 생강 3쪽에 물 한 대접 반을 넣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끓여 하루 2~3회 식후 30분, 3~4일 복용한다.

감기가 발생하면 목이 붓고 몸에 추위가 오며 두통이 생기고 기침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죽엽, 즉 대나무 잎을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죽엽은 해독시켜 주고 소갈시켜 주며 인후통을 없애 주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 

7). 말린 지렁이
말린 지렁이 3~4마리와 비파나무 잎 1잎에다 3홉(540cc)의 물을 달여서 1일 3회에 나누어 복용하면 해열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8) 말린 메뚜기
말린 메뚜기 20~30마리를 잘 삶아 여기에 약간 짤 정도의 식염을 가미하여 취침 전에 작은 컵으로 1컵 정도 음복하면 감기로 인한 쉰 목소리에 좋다고 한다. 

9) 말린 쑥
말린 쑥을 헝겊 주머니에 넣고 한 번 삶아서 우러나온 진한 즙을 목욕탕에 물을 넣고 목욕하면 몸을 대단히 보온하게 되어 좋다고 한다.

[참고문헌]
- 허준의 동의보감 (박효완, 아이템북스, 2019)


 

728x90
반응형

댓글